이동 삭제 역사 ACL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출처불명 === Equalism이란 단어 그 자체는 나무위키의 창조물이 아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naI0AQAAMAAJ&q=%22equalism%22&dq=%22equalism%22&hl=ko&sa=X&ved=0ahUKEwjh2Zz46PHRAhUROrwKHdmKDNsQ6AEIOjAF|1874년의 문서 기록]]도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에 작성된 언론기사에서도 등장한다. [[http://lr.cx/MY2k4|세계의 실태 (1970.03.20, 동아일보)]] 그러나 '''실존 여부와는 별개로''' 이전 서술의 주장처럼 Equalism 안에 Gender의 속성이 있다는 사전적 정의를 내린 것이 창조 영역에 속한다. 물론 이 주장 역시 나무위키에서 처음 나온 것은 아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기 이전에 이미 비슷한 이퀄리즘에 대한 논리가 다수 커뮤니티에 퍼진 상태였고 그걸 바탕으로 문서가 작성되었다. 엠마 왓슨의 He For She 연설 또한 성평등주의나 이퀄리즘과 같이 언급되었고 그게 확인되지 않은 채 위키에 올라왔다. 하지만 그런 사전적 정의를 나무위키를 통해 강화해 나간 것은 사실이다. (3.2, 3.3 문단 참조) 한때 [[영어 위키백과]]에 Egalitarianism에 Equalism이 기록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국에 유입되었고 나무위키에 기록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도 있다. (4.3 영문 위키백과의 이퀄리즘 등재 사건 참조) 하지만 굳이 해외에서 뿌리를 찾지 않아도 ‘Equal’과 ‘-ism’이란 단순한 형태로 ‘평등을 주장하는 어떤 생각이나 행동’을 드러내는 직관적 측면을 가졌기 때문에 영문명만 같은 '''다른''' 사상/주의를 그냥 만들어 냈을 가능성도 있다. (3.2 문단 참조)[* 일단 첫 문서 작성자는 국내 사이트를 보고 작성했다고 한 바 있다.] Equalism과 관련된 공통된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2.날조 문서의 내용 참조) > *서구권에서 Equalism이라는 페미니즘과 다른 성 평등을 요구하는 흐름이 생겼음. > *Equalism는 Gender Egalitarianism과 동등한 의미로 쓰임. 두 주장 모두 출처를 확인 할 수 없다. Equalism에 Gender로 고정해 <성 평등주의>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적어도 한국에서는 (Gender) Equalism을 ‘안티-페미니즘의 다른 이름’이라고 생각해도 할 말 없게 만들었다. 실제 서구권에서 Equalism은 아무 의미가 없다. [[https://namu.wiki/thread/AnAxiomaticAndSupremeSuggestion|Gender와 전혀 별개의 평등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예]]도 찾을 수 있고 위키백과에 잠시 올라왔던 Equalism조차 Egalitarianism(평등주의)에서 삭제되면서 ‘Equality(평등)’로 검색된다. Gender의 영역에서도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934563|안티-페미니즘에서의 용례]], [[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50462|페미니즘에서의 용례]][* 참고 : 페미니즘 대신에 이퀄리즘이라고 부르자고 한 주장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95년, 1997년에도 이를 찾을 수 있다.[br]''Gender watch:: [Final Edition\]'' Baldwin, Susie Sault Star; Sault Ste. Marie, Ont. 29 Nov 1997: C8 / FRONT.[br]''The real meaning of the `F' word: [FINAL Edition\]'' JANET BEACH DAVIS Bloomington, Ill. 29 Aug 1995: C.1. ] 모두 찾을 수 있어 그저 보편원리인 평등에서의 성 담론 정도이지 공통된 특징이 없다. 또 특징이 없다는 것 자체가 이 단어의 사용빈도가 얼마나 희박한지를 말해준다. 서구권에서 시대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발전한 여성주의(Feminism)와 구별되는 흐름을 찾자면 남성주의(Masculism)나 안티-페미니스트 정도다. 날조 문서에 따르면 이들은 기존의 자기주장을 버리고 새로운 사상을 선택했다는 것인데 그런 흐름은 없다. 또 Equalism은 젠더와 관계 없이 시에서 조어로 사용되거나 균형/평등의 뜻으로 사용된 예, 행동 심리학논문에서 사용된 예도 존재한다.[* ''A Year and a Day'' Laite, William E. Journal of Rehabilitation; Washington, D.C.38.5 (Sep 1, 1972): 26.][* To be a Tory Charles, Basil. The Spectator; London235.7683 (Sep 27, 1975): 398.][* ''LETTERS'' Northwest Florida Daily News; Fort Walton Beach, Fla. [Fort Walton Beach, Fla} 11 Dec 2003: A6. ][* ''Recidivism, proportionalism, and individualized punishment'' Finkel, Norman J Maloney, Stephen T Valbuena, Monique Z; Groscup, Jennifer. Th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Thousand Oaks39.4 (Feb 1996): 474.][* "POLITICS UPA ADVANI TWO LAST BANGALORE'' United News of India; New Delhi 28 Apr 2011] 다시 말해 성 평등주의(Equalism, Gender Egalitarianism)라는 이름으로 나타나는 사상뿐이 아니라 주류사회에서 인정되는 공통된 흐름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191.186.12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